본문 바로가기

가치투자

(3)
모건 하우절 - 돈의 심리학 , 버핏은 왜 꽁초 투자를 하였을까? 안녕하세요!찰리멍거처럼 99세까지 투자자로 활동할 위례 입니다. 오늘은 모건 하우절의 돈의 심리학을 보면서 느낀 점을 메모하기 위해 글을 남깁니다.미국의 1950년생은 10대~20대 사이에보합장 => 지금 대한민국의 박스피!을 경험합니다. 미국의 1970년생은 10대에서 20대 사이에 현재의 미국과 같은 우상향하는 주식시장을 경험합니다.  이 그래프를 보면서 문득 제가 좋아하는 워렌버핏과 찰리멍거가 생각났습니다.워렌버핏은 찰리멍거를 만나기 전에 가치투자자인데 꽁초투자를 했습니다.그러다 찰리멍거를 만나고 우량한 주식을 적절한 가격에 사는 것이 더 좋은 투자라는 것을 알게되고투자방법을 바꾸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저 일화만 알고 있을 때와는 달리책에서의 그래프 + 멘토님들의 경험과 지식이 합쳐지니 다른 것이 ..
열기 후기 #3 좋은 투자는 가치있는 물건을 저평가된 가격에 사는 것! 나는 가치 있는 물건을 알 수 있는가? 저평가를 판단할 수 있는가? 과거 실패하였던 주식투자투기 행위들을 돌아보면, 가치가 보통 또는 없는 회사의 주식을 가격이 싸다는 이유로 매수하였기 때문에 실패하였거나, 가치가 있는 회사의 주식을 가격이 싸다는 이유로 저평가되었는지 여부는 확인하지 않고 매수하였고, 여유자금이 아닌 사용하여야 하는 자금으로 매수하여 하락장에 버티지 못하여 실패하였던 것 같습니다. 과거에는 내가 가치 있는 저평가된 주식을 산 가치투자자라고 생각하였지만, 지난 몇 년간의 결과들을 돌아보면 그것은 잘못된 생각이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수업을 듣기 전까지는 왜 투자가 실패하였는지? 무엇을 잘못한 것인지도 잘 모르고 있었는데. 너바나님의 ..
열기 후기 #2 정규강의 2강. 그동안 독서를 통해서 알고 있었던 파편들이 짜맞춰지는 현상을 경험하였습니다. 절대로 투자원금을 잃지 않아야 한다 복리는 위대하다. 투자원칙이 중요하다. 투자에는 기준이 필요하다. 투자와 투기는 그 기준이 있느냐로 평가할 수 있고, 기준이 있다는 것은 매수기준, 목표수익률, 매도기준이 있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입니다. 즉, 내가 얼마에 팔아야 할지?, 목표수익률은 얼마인지?를 모른 상태에서 투자를 한다는 것은 투기로 보면 될 것입니다. 그리고 위 투자의 기준을 고수하고 지키는 것, 즉 투자의 원칙이 있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항상 욕심이 앞서게 되면 리스크라는 함정에 빠지게 되는데, 그것을 견제해 줄 수 있는 안전벨트의 역할을 해주는 것이 바로 투자원칙과 투자도 기준입니다. 워런버핏의 투자..